본문 바로가기

금융 지식 창고26

환율과 주가의 관계 알아보기 - 환율 상승, 주가 하락 이유는? 국내 투자를 하다 보면 시장이 좋지 않을 때 환율은 오르고, 그 반대로 시장이 좋으면 환율은 떨어지는 현상을 자주 목격합니다. 그래서 어떤 이는 국내 주식과 함께 달러 자산도 보유해서 안전하게 자산을 관리하기도 합니다. 환율과 주가의 관계를 간략히 살펴보겠습니다. 환율 보통 우리가 '환율이 올랐다', '환율이 떨어졌다'라고 말하는 환율은 '달러/원 환율'입니다. 뉴스에는 원달러 환율이라고 말합니다. 분자에 '달러', 분모에 '원'이 있으니 간단한 산수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환율 상승: 달러 가치 상승, 원화 가치 하락 환율 하락: 달러 가치 하락, 원화 가치 상승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수출이 잘 되고 세계 경기가 활황일 때, 환율이 하락합니다. 즉, 원화 가치가 상승합니다. 상품을 .. 2022. 4. 21.
금리 인상하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는 이유 채권은 무엇인지 간략하게 설명하고 금리가 인상되면 채권 가격이 떨어지고, 반대로 금리가 인하되면 채권 가격이 올라가는 메커니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채권 (Bonds) 채권은 일종의 차용증서입니다. 채권에 명시된 기한까지 채권을 보유하고 있으면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으며, 채권에 명시된 연 이율로 매년 이자를 받습니다. 예를 들어 10년 만기, *발행이율 8%를 주는 채권을 천만 원에 사면, 매년 80만 원을 이자로 받고 10년 후 만기가 되면 원금 천만 원을 받습니다. 채권은 중앙정부, 지방정부, 공기업, 금융기관, 회사, 기타 법인들이 정책이나 사업 시행하기 위한 자금을 모으기 위해 발행합니다. 발행주체에 따라 국채, 지방채, 공채, 회사채 등이 있습니다. * 발행이율은 표면금리, 표시 이자율, 쿠.. 2022. 4. 21.
주가수익비율 PER와 주가수익성장비율 PEG의 의미와 한계 주식 투자를 하면 여러 지표를 만나게 됩니다. 그중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접하는 PER(주가수익비율)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고 PER의 한계를 보완한 PEG(주가수익성장비율)도 함께 소개합니다. 더불어 PEG의 한계도 점검하며 가치투자를 위해 신경 써야 할 부분도 가볍게 알려드립니다. PER (Price to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국내에서는 보통 PER을 '피이알' 또는 '퍼'라고 발음합니다. 해외 투자를 하시는 분은 'PER'보다 'P/E'라는 표기가 더 익숙하실 것입니다. 모두 같은 주가수익비율을 말합니다. 현재 주가가 비싼지 안 비싼지 가장 단순하고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PER 계산법 주가수익비율은 '현재 주가를 주식 한 개가 연간 벌어들인 순이익으로 나눈 값'입니.. 2022. 4. 20.
CAGR 연평균 수익률 계산법 엑셀 함수로도 가능 연평균 수익률, 또는 연평균 성장률이라고 말하는 CAGR은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원금에 이자가 붙고 그 이자에 또 이자가 붙기 때문에 단순히 산술평균을 내면 정확한 값을 얻지 못합니다. 정확한 계산법을 살펴보고 엑셀 함수를 이용해서 쉽게 계산하는 법도 알아보겠습니다. CAGR (Compound Average Annual Growth Rate) Cay-Gr로 주로 발음하고 미 중서부에서는 Cah-Gr 로도 발음합니다. 연평균 성장률, 연평균 수익률이라고도 하는 CAG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1,000원이 십 년 후에 11,000원이 되었다고 하면, 10년간 만원의 수익을 얻은 셈입니다. 천 원으로 만원을 벌었으니 10년간 수익률은 "(11,000 - 1,000) / 1,000"을.. 2022. 4. 20.